티스토리 뷰
목차
재산세를 정확히 조회하는 방법을 알고 계신가요?
재산세는 매년 주택이나 토지를 소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납부해야 하는 중요한 세금입니다. 하지만 재산세를 정확히 조회하고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부 24, 위택스, 서울시 ETAX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부 24, 위택스, 서울시 ETAX 등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하여 재산세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회하는 방법을 상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Ⅰ. 재산세란? 개념과 부과 기준 분석
재산세(Property Tax)는 부동산 및 일정한 유형의 재산을 소유한 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국세가 아닌 지방세이기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시·군·구)에서 부과 및 징수하며, 세율과 감면 정책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재산세 부과 기준
- 부동산 소유 여부: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부동산 소유자가 재산세 납세 의무를 가짐
- 부과 대상: 주택, 건축물, 토지, 선박 및 항공기 등
- 세율 적용 기준: 부동산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과세표준을 산정 후 세율 적용
Ⅱ. 재산세 조회 방법 (PC & 모바일 총정리)
재산세 조회는 정부 24, 위택스(Wetax), 서울시 이택스(ETAX) 등에서 가능합니다.
아래는 각 방법별 상세 절차 및 차이점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정부 24에서 재산세 조회 (전국 가능)
정부 24는 국가 운영 포털로, 공인인증서 없이도 간단한 조회가 가능합니다.
📌 조회 절차
- 정부 24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간편 인증 사용 가능)
- 검색창에 "재산세 납부 조회" 입력 후 조회
- 부과 내역, 납부 금액, 감면 여부 확인 가능
📌 장점
-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즉시 확인 가능
- 다양한 정부 서비스와 연계되어 정보 제공이 폭넓음
📌 단점
- 세부 납부 정보까지 확인하려면 위택스로 연결됨
2. 위택스(Wetax)에서 재산세 조회 및 납부 (지방세 전용)
위택스는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지방세 납부 포털로, 납부까지 원스톱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조회 절차
- 위택스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공동인증서, 간편 인증 지원)
- 상단 메뉴에서 "납부할 지방세 조회" 클릭
- 본인 소유 부동산에 대한 재산세 부과 내역 확인
📌 장점
- 지방세(재산세, 자동차세, 주민세 등) 납부 가능
-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다양한 결제 방식 제공
📌 단점
- 간편 조회보다는 로그인 및 인증 과정이 필요
💡 모바일 조회 TIP
- 위택스 모바일 앱 이용 가능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간편 인증 지원
3. 서울시 ETAX에서 조회 (서울 거주자 전용)
서울시는 자체 지방세 납부 시스템인 "이택스(ETAX)"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조회 절차
- 서울시 ETAX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후 "지방세 납부 조회" 선택
- 재산세 부과 내역 및 세액 확인
📌 장점
- 서울 거주자에게 특화된 세부 정보 제공
- 감면 대상 및 납부 기한 자동 안내
📌 단점
- 타 지역 거주자는 위택스를 이용해야 함
Ⅲ. 재산세 감면 대상 및 신청 방법
재산세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감면이 가능합니다.
1. 감면 대상
✔ 1 가구 1 주택 보유자 (일정 기준 충족 시 감면 가능)
✔ 장애인, 국가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등
✔ 공공임대주택 및 농업용 건축물
2. 감면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위택스 또는 이택스)
- 위택스 접속
- "지방세 감면 신청" 메뉴 클릭
- 본인 인증 후 감면 대상 확인 및 신청
📌 오프라인 신청 (관할 세무서 방문)
- 신청서 작성 후 증빙서류 제출
Ⅳ. 재산세 납부 기한 및 연체 시 불이익
📌 1. 재산세 납부 일정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번에 나누어 납부합니다.
- 1 기분: 7월 16일~7월 31일
- 2 기분: 9월 16일~9월 30일
- 주택: 7월(1/2 납부), 9월(나머지 1/2 납부)
- 건축물, 토지: 7월 전액 납부
💡 연납(일시납) 시 일정 비율 세금 할인 가능
납부 방법으로는 인터넷 뱅킹, 위택스나 서울시 ETAX 등 온라인 납부, 편의점 또는 은행 방문을 통한 직접 납부 등이 있습니다.
📌 2. 연체 시 불이익
✅ 연체 이자 부과 (매월 3% 증가, 최대 75%)
✅ 체납 시 부동산 압류 및 강제 매각 가능
✅ 재산세 미납 기록이 신용등급에 악영향 줄 수 있음
🔹 Ⅴ. 결론 및 추천 액션 플랜
✔ 재산세는 6월 1일 기준 소유 여부에 따라 부과되므로, 사전에 납부 일정 확인 필수
✔ 정부 24, 위택스, ETAX에서 간편 조회 및 납부 가능 (서울 거주자는 ETAX 추천)
✔ 감면 대상 확인 후 신청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연체 시 불이익이 크므로 자동납부 설정 또는 납부 기한 알림 서비스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