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4년 전국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교육비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본 내용은 통계청이 교육부와 공동으로 전국 초중고 약 3,000여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자료를 참고하여 , 사교육비 총액부터 참여율, 과목별 지출액, 가구 소득별 차이 등 주요 통계 수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학부모와 교육 관계자라면 꼭 참고해 보시고, 앞으로 사교육비에 대한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 2024년 사교육비, 어디까지 늘었을까?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는 약 29조 2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2조 1천억 원 (7.7%) 증가했습니다. 반면 전체 학생 수는 521만 명 → 513만 명(1.5% 감소)으로 줄어들면서, 1인당 부담은 더욱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① 학교급별 사교육비 총액 현황
○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은 약 29조 2천억 원으로, 전년도 약 27조 1천억 원에 비해 약 2조 1천억 원(7.7%) 증가하였습니다.
- 초등학교: 13조 2천억 원 (전년대비 ▲6.5%)
- 중학교: 7조 8천억 원 (전년대비 ▲9.5%)
- 고등학교: 8조 1천억 원 (전년대비 ▲7.9%)
○ 초·중·고 전체 학생 수는 약 513만 명으로, 전년 대비 약 8만 명(-1.5%) 감소하였습니다.
② 사교육 참여율 및 주당 시간
○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교 87.7%, 중학교 78.0%, 고등학교 67.3% 순으로 높았습니다.
-전년대비 중학교 2.7% p, 초등학교 1.7% p, 고등학교 0.9% p 순으로 증가
- 전체 사교육 참여율: 80.0% (전년대비 ▲1.5% p)
○ 주당 참여시간은 중학교 7.8시간, 초등학교 7.8시간, 고등학교 6.9시간 순으로 높았습니다.
-전년대비 중학교 0.4시간, 초등학교 0.3시간, 고등학교 0.2시간 순으로 증가
- 주당 평균 참여 시간: 7.6시간 (전년대비 ▲0.3시간)
③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 학교급별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고등학교 52만 원, 중학교 49만 원, 초등학교 44만 2천 원이며, 전년 대비 초등학교(11.1%), 중학교(9.0%), 고등학교(5.8%) 순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전체학생 기준: 47만 4천 원 (전년대비 ▲9.3%)
○ 참여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고등학교 77만 2천 원, 중학교 62만 8천 원, 초등학교 50만 4천 원이며, 전년 대비 초등학교(9.0%), 중학교(5.3%), 고등학교(4.4%) 순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참여학생 기준: 59만 2천 원 (전년대비 ▲7.2%)
④ 과목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 일반교과 과목의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5만 8천 원이고, 참여학생은 55만 1천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9.8%, 6.4% 증가
- 전체학생 평균: 35만 8천 원 (전년대비 ▲9.8%)
- 참여학생 평균: 55만 1천 원 (전년대비 ▲6.4%)
⑤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
○ 가구의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액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800만 원 이상 가구: 67만 6천 원 (전년대비 ▲0.8%)
- 300만 원 미만 가구: 20만 5천 원 (전년대비 ▲12.3%)
⑥ 부모의 경제활동 상태별 사교육비 및 참여율
○ 맞벌이 가구에서 사교육 지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여유가 지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 맞벌이 가구: 50만 2천 원 (전년대비 ▲9.5%)
- 아버지 외벌이 가구: 46만 4천 원
- 어머니 외벌이 가구: 31만 5천 원
⑦ 고액 사교육 지출 학생 비중 증가
○ 50만 원 미만 지출 구간에서는 비중이 모두 감소한 반면, 고액 구간에서는 증가 추세가 확인되었습니다.
- 월평균 사교육비 70~100만 원 구간 학생 비중: 14.2% ▲1.6% p
- 50만 원 미만 구간은 모두 감소
- 50만 원 이상 구간은 전반적으로 증가
⑧ 사교육 목적의 변화
8-1 일반교과
○ 일반교과는 선행학습 수요는 줄고, 학교수업 보충에 집중하는 경향이 예체능은 자율적 취미 활동 중심으로 목적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학교수업 보충: 50.5% ▲0.9% p
- 선행학습: 23.1% ▼0.9% p
- 진학준비: 14.4%
8-2 예체능
- 취미·교양·재능계발: 63.9% ▲0.9% p
- 친구 사귀기: ▼1.0% p
⑨ 공교육 보완 프로그램 참여율
○ 늘봄학교와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감소했으며, 반면 EBS 활용과 어학연수 참여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늘봄학교·방과후학교 참여율: 36.8% ▼4.3% p
- EBS교재 구입률: 16.4% ▲0.3% p
- 어학연수 참여율: 0.7% ▲0.2% p
📌 초중고사교육비 지원 방안에 대한 고민...
이번 조사 결과는 사교육이 여전히 주요한 교육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가구 형태, 소득 수준에 따른 격차도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공교육 강화와 함께, 학생별 맞춤형 지원 방안이 함께 고민되어야 할 시점입니다.